포트폴리오 Tip: 삼성은 포트폴리오 작성 가이드가 구체적이고 일관적입니다.
따라서 공통적으로 내려오는 다음 기준에 대해 맞춰서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.
포트폴리오 작성 가이드
비율 16:9 (1920*1080)
개인 작업 n개, 공동 작업 n개로 구성
10장 이상 20장 이하 (표지 제외)
STEP 1. 컨셉 잡기
내 강점과 색깔이 잘 드러나게, 나를 표현할 수 있는 토대를 잡으세요.
•
스스로를 키워드화 해보기
◦
내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보이고 싶은지 파악하기 위해선, 스스로에 대해 먼저 잘 알아야 합니다.
본인이 잘하는 것, 본인의 강점을 키워드화하여 먼저 작성해보세요.
◦
e.g. UX리서치 / User Interface (UI) / User Experience (UX) / Graphical User Interface (GUI) 등 중 어디에 특화될 수 있는 키워드들인지에 맞춰서 정리하기 (e.g. 캐릭터 디자인에 자신있고 그걸 접목시킨 UI에 자신이있다, 리서치를 토대로 인사이트를 뽑는 걸 잘한다, B2B 산업에 관심이 있다, 제품 기반 제조업에 관심이 있다 등)
삼성전자 비주얼 인터랙션 디자인
공고 (2021년)
삼성전자 인터랙션 디자인 공고 (2021년)
제일기획 UX/UI 디자인 공고(2023년)
삼성SDS UX디자인 공고(2023년)
STEP 2. Why, How, Result를 1:3:1(or 2:2:1) 비율로 명확히 기재하기
어떤 문제를, 어떻게 개선했고,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 명확하게 정리하세요.
•
Why?
◦
어떤 문제가 왜 있게 되었는지, 해당 프로젝트를 왜 하게 됐는지 배경을 포트폴리오에 잘 녹이세요.
•
How?
◦
해당 문제를 어떻게 개선해줬는지, 혹은 특정 문제를 근거 삼아 어떻게 구성했는지 표현합니다.
◦
아직 사회초년생이라 or 비전공생이라 기재할 만한 데이터나 결과(Result)가 없다면 How?에 대한 근거를 더 신경써서 구성하세요.
•
and Result
◦
앞선 행위들을 통해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에 대해 정리합니다.
◦
강조할 만한 데이터가 있다면, 더욱 강조해서 구성합니다.
◦
Result의 경우 면접에서 더 많은 얘기를 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호기심을 자극할 정도로만 기재하기
STEP 3. 컬러 활용하기
컬러를 염두하고 프로젝트를 배치하세요.
•
나무보다 숲 보기
◦
프로젝트 속 디테일에 빠져서 거시적으로 포트폴리오를 못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.
하지만 면접관들은 생각보다 모든 포트폴리오를 처음부터 꼼꼼하고 세심하게 살피지 않습니다.
휙 넘겨봐도 눈에 잘 들어오는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것이, 디테일을 잘 만드는 것보다 중요합니다.
•
프로젝트별 컬러배치 이용하기
◦
프로젝트에 쓰인 키컬러들을 살펴 배치해 시각적 변주를 줍니다.
◦
e.g. 블루 관련 프로젝트만 연달아 나온다면
→ 다른 키컬러가 들어간 프로젝트를 사이에 넣어 시각적으로 끊어줍니다.
→ 배경을 다크/화이트 모드 등으로 구성해 구분지어 줍니다.
→ 서브컬러 등을 활용해서 시각적으로 한 번 환기시켜 줍니다.
◦
같은 블루를 쓰더라도 다크모드 / 화이트모드로 활용한 사례
•
그러나 컬러 배치보다 중요한 건, 첫 번째 프로젝트
◦
컬러배치에 신경쓰느라 다른 것을 놓치면 안됩니다.
◦
포트폴리오의 첫 프로젝트는 되도록이면 내가 가장 자신있는, 내가 했던 작업 중 퀄리티가 가장 높은 프로젝트를 배치하도록 합니다.
◦
그렇게 함으로써 첫인상을 만들어준 뒤에, 첫 프로젝트의 컬러에 맞춰 뒤 프로젝트를 구성해주도록 합니다.
그 외 챙겨야 할 것들
•
공동 프로젝트의 경우, 개인 기여도 명확히 기재하기
◦
포트폴리오에서 공동(팀)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가 개인 기여도 및 본인 Role이 어디까지인지 구체적으로 안 적는 것입니다.
◦
본인의 기여도가 한 줄로 정의될 수 있게, 프로젝트 별 표지에 잘 정리해주세요.
▪
잘못된 예시
UX UI Designer: 김ㅇㅇ / 개발자 이ㅇㅇ 등등 쓰고 마는 것
▪
추천 예시
총 인원: Designer n명 / Developer n명 등등 인원 구성 적시 후
개인 기여도: 기획30% / 와이어프레임 90% / GUI 제작 50% 쓰기
•
공동 프로젝트와 개인 프로젝트의 퀄리티 밸런스 맞추기
◦
공동프로젝트와 개인 프로젝트를 넘겨볼 때 두 카테고리의 밸런스가 지나치게 차이가 난다면, 본인의 밑천을 드러내는 행위나 마찬가지겠죠? 스스로가 프리라이딩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, 개인 프로젝트 퀄리티는 공동프로젝트와 비슷하게 맞춰주세요.
포트폴리오 제작 시 가장 꺼려야 할 건, 기억에 남지 않는 포트폴리오가 되는 것입니다.
’내가 누구인가’가 잘 담긴 ‘내’ 포트폴리오를 만드세요.
제로베이스가 필요한 것들만 모았습니다.
4개월동안
•
100% 온라인 강의로, 공부하고 싶은 곳에서, 가능한 시간에 편하게 학습합니다.
•
Slack으로 팀원들과 소통하고, 질의응답을 실시간으로 해결합니다.
•
데일리 스케줄표로 관리받고, 주차별 과제로 꾸준히 학습합니다.
현직자와 소통하며 실무역량을 쌓고,
•
현직자 멘토단의 피드백으로 실무적 관점으로 학습합니다.
•
디자이너에게 필요한 개발지식, 실무 프로세스 강의로 실무 역량을 쌓아갑니다.
합격하는 포트폴리오로 취업합니다.
•
그룹 프로젝트를 진행하고, 1:1 피드백을 받으며 포트폴리오를 제작합니다.
•
자소서, 면접 특강 등 커리어코칭을 통해 취업을 준비하세요.
제로베이스 실제 수료생 후기
UIUX 디자인 스쿨 수강 신청하고 싶다면?
2024년도 취업, 제로베이스가 끝까지 함께합니다.